티스토리

양산 한옥문
검색하기

블로그 홈

양산 한옥문

dy3186.tistory.com/m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양산 한옥문입니다 (현)양산시장 예비후보 (전)경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장 (전)양산시의회 의장

구독자
3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한옥문, 양산시장 출마 선언 기자회견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스물일곱 번째 한옥문의 생각 '제42회 장애인의 날' 스물일곱 번째 한옥문의 생각 '제42회 장애인의 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양산 한옥문입니다. 금일 4월 20일은 제42회 장애인의 날입니다. 모두가 잘 아시겠지만, 장애인의 날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기념일입니다. 4월이 1년 중 모든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이어서 장애인의 재활의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둔 것이며, 이날을 전후로 약 일주일간을 '장애인 주간'으로 정하고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년 전, 저를 비롯하여 13명의 경남도의원님들과 함께 경상남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조례안을 대표발의 한 적이 있습니다. 이 조례안의 제정 배경이 우리 도내의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4. 20.
  • 스물여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세계 자폐증 인식의 날' 스물여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세계 자폐증 인식의 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양산 한옥문입니다. 금일 4월 2일은 '세계 자폐증 인식의 날'입니다.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이날은 장애의 한 종류인 자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조기진단, 적절한 치료 등을 통해 자폐 증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2007년 국제연합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선포한 날입니다. '국제 장애인의 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 '자폐증 인식의 날'을 제정한 것은 그만큼 자폐장애인의 삶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결과가 아닐는지요. 오늘은 파란빛을 밝히는 날이라 하여 'Light it up Blue'라고 푸른 등불을 켜는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3만 2,000여 명의 자폐성 장애인과 가족분들께 조금이나마 힘이 되길 바랍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4. 2.
  • 스물다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사회복지사의 날'을 기념하며 스물다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사회복지사의 날'을 기념하며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양산 한옥문입니다.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금일 3월 30일은 사회복지사의 날입니다. 이날은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어 이를 기념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3월 30일을 사회복지사의 날로 규정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 복지는 국민의 '권리'입니다. 국가와 사회의 '시혜'가 아닙니다. 헌법 제10조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즉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 사회 곳곳에는 불철주야 희생하고 헌신하시는 많은 분들이 계십니다. 저는 그 중심에 사회복지사분들이 ..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3. 30.
  • 스물네 번째 한옥문의 생각 '한글날' 스물네 번째 한옥문의 생각 '한글날' ​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 ​ ​ 어제 10월 9일은 '한글날' 이었습니다. ​ 모두가 아시겠지만, 한글날은 ​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 국경일입니다. ​ 우리 한글이 완전하게 보급되기까지는 ​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 ​ 광복 직후까지만 해도 ​ 문맹률이 극히 높았으며, ​ 한자, 한문은 배우기가 어려워 ​ 보편화되지 못했습니다. ​ 글을 모르고는 지식을 습득할 수 없고 ​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 생활, 문화의 발전은 생각하기 어려웠습니다. ​ ​ 오늘날 여러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 세계 여러 선진국들과 어깨를..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10. 10.
  • 스물세 번째 한옥문의 생각 '국군의 날' 스물세 번째 한옥문의 생각 '국군의 날' ​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 금일 10월 1일은 ​ 대한민국 건군 제73주년 국군의 날입니다. ​ ​ 모두가 아시겠지만, 국군의 날은 ​ 1950년 10월 1일, ​ 한국군이 남침한 북한 공산군을 반격한 끝에 ​ 38선을 돌파한 날로서, ​ 이날의 의의를 살리기 위하여 ​ 지정한 기념일입니다. ​ 매년 국군의 날이 되면, ​ 가슴 한편이 뜨거워지곤 합니다. ​ ​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평화와 안전, ​ 자유는 공짜가 아닙니다. ​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다져졌으며, ​ 하루하루 나아지는 국방력이 뒷받침되었기에 ​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 ​ 지금 이 순간에도 육(陸), 해(海), 공(空)에서 ​ 자신의 임무를 ..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10. 1.
  • 스물두 번째 한옥문의 생각 '수소 경제에 대한 고찰(考察)' 스물두 번째 한옥문의 생각 '수소 경제에 대한 고찰(考察)'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양산 한옥문 경남 수소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의 :: 양산 한옥문 (tistory.com) 양산 한옥문 경남 수소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의 양산 한옥문 경남 수소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의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작년, 본인 외 9명의 도의원님들과 함께 ​ '경상남도 수소 산업의 육성 dy3186.tistory.com 얼마 전, '경남 수소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의'라는 주제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위 조례안을 대표 발의 하게 된 이유에 관해 간략하게 언급 드리면, 화석에너지 사용에 대한 한계, 미세먼지를 중심으로 한..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9. 3.
  • 스물한 번째 한옥문의 생각 '도쿄 패럴림픽' 스물한 번째 한옥문의 생각 '도쿄 패럴림픽'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경상남도 조례 장애차별적 용어 일괄 정비를 위한 조례 대표 발의 :: 양산 한옥문 (tistory.com) 경상남도 조례 장애차별적 용어 일괄 정비를 위한 조례 대표 발의 경상남도 조례 장애차별적 용어 일괄 정비를 위한 조례 대표 발의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 ​ ​ 지난달 15일, ​ 제387회 임시회 제2차 본 회의를 통해 ​ dy3186.tistory.com 일전에, 쓴 글에서도 간략하게 언급했었던 '도쿄 패럴림픽'. 우리는 다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장애는 '불편'일 뿐, '불행'이 되지 않는 사회가 되도록 앞장서서 바꿔가야 할 것입니다. 지난 8월 24일, 개.. 공감수 6 댓글수 0 2021. 8. 29.
  • 스무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광복절' 스무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광복절'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 ​ ​ 오늘은 제76주년 광복절입니다. ​ 모두가 아시겠지만, ​ 광복절은 1945년 8월 15일 ​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 경축하는 날입니다. ​ 저는 백범 김구 선생님을 존경하며, ​ 평소, 혜안과 지혜를 구하고자 할 때면 ​ 선생님의 '백범 일지'를 펼쳐들곤 합니다. ​ ​ 오늘 8월 15일은 ​ 선생님이 더욱 생각나는 날이었습니다. ​ ​ 여지없이 저는, ​ 백범 일지의 '나의 소원'이라는 ​ 좋아하는 대목을 읽어내려갔습니다. ​ ​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 하나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 “내 ..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8. 19.
  • 열아홉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칠석(七夕)' 열아홉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칠석(七夕)'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 ​ ​ ​ 오랜만에 의자에 걸 터 앉아 ​ 책상 정리를 하였습니다. ​ ​ 서류와 책들을 정리하다 보니 ​ 탁상달력이 눈에 들어옵니다. ​ ​ 오늘 날짜를 보니 ​ '칠석'이라 적혀있는 걸 보고 ​ 잠시 생각에 잠겼습니다. 오늘은 음력 7월 7일이자 ​ 세시 명절의 하나인 칠석(七夕)입니다. ​ 칠석은 '헤어져 있던 ​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 만나는 날'이라고도 ​ 잘 알려져 있습니다. ​ ​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 칠석이란 말은 ​ 중국의 『제해기(薺諧記)』에 처음 나타납니다. ​ 주(周)나라에서 한대(漢代)에 걸쳐 ​ 우리나라에 유입되기까지 ​ 윤색을 거듭하여 온 것으로 보..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8. 18.
  • 열여덟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2020 도쿄올림픽을 돌아보며' 열여덟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 '2020 도쿄올림픽을 돌아보며' ​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며칠 전, 2020 도쿄올림픽이 ​ 막을 내렸습니다. ​ 7월 23일부터 8월 8일까지 ​ 일본 도쿄에서 열렸던 올림픽은 ​ 우리 대한민국 선수들과 코치진들 덕분에 ​ 뜨거웠던 지난날들의 열기를 ​ 잠시라도 식힐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 ​ 높이뛰기의 우상혁 선수를 지켜보면서 ​ 손에 땀이 날 정도로 같이 긴장도하고 ​ 한국신기록인 2m35를 뛰어넘을 때는 ​ 통쾌한 환호성을 함께 질렀습니다. ​ ​ 더군다나 우상혁 선수의 해맑은 미소와 ​ 경기를 즐기고 있는듯한 모습은 ​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 나눠줬을 거라 생각합니다. ​ Faster, Higher..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8. 11.
  • 열일곱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입추(立秋)' 열일곱 번째 양산 한옥문의 생각 '입추(立秋)'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어제 8월 7일은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인 입추(立秋)였습니다. 모두가 아시겠지만, 입추(立秋)는 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도에 있을 때이며,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입니다.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우리는 가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저는 선조(先祖)들의 지혜와 통찰력을 존중하고 깊게 생각해 보는 편입니다. 그래서 고전(古典)도 찾아보고, 네 가지 경서로 잘 알려진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을 비롯하여 성경이나 법화경도 종종 읽어보곤 합니다. 절기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찾아보니 입추에 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었습.. 공감수 6 댓글수 0 2021. 8. 8.
  • 열여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제헌절' 열여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제헌절'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은 7월 17일 제헌절입니다. 모두가 아시겠지만,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 공포를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저는 제헌절만 되면 법불아귀(法不阿貴)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법은 귀한 자에게 아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법을 집행하는 것이 공정하고 법률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한비자'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한비자는 법가사상가 '한비'의 저서입니다. 한비자(韓非子)의 유도(有度) 편에 보면 위에 말한 '법불아귀'의 성어가 실려있습니다. '법은 신분이 귀한 자에게 아부하지 않고 먹줄은 굽은 모양에 따라 구부려 사용하지 않는다. 법률의 제재를 가하면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논쟁할..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7. 17.
  • 열다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K-바이오랩허브 유치에 대한 열망(熱望) 열다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 K-바이오랩허브 유치에 대한 열망(熱望)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양산 한옥문, 'K-바이오 랩허브' 양산 유치를 위한 대토론회에 다녀오다 :: 양산 한옥문 (tistory.com) 양산 한옥문, 'K-바이오 랩허브' 양산 유치를 위한 대토론회에 다녀오다 양산 한옥문, 'K-바이오 랩허브' ​ 양산 유치를 위한 대토론회에 다녀오다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지난 6월 25일, ​ 저는 'K-바이오 랩허브' ​ 경남 양산 dy3186.tistory.com 지난달 25일, ​ 저는 K-바이오 랩허브 경남 양산 유치를 위한 ​ 대토론회를 다녀왔습니다. ​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말씀드리면 ​ 전국 12개 시..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7. 8.
  • 열네 번째 한옥문의 생각 전기차 폐배터리에 대한 고찰(考察) 열네 번째 한옥문의 생각 전기차 폐배터리에 대한 고찰(考察)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저는 몇 년 전부터 전기차 폐배터리 관리 및 재활용을 위한 체제를 조속히 갖추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경남도, 전기차 폐배터리 관리 적극 대응 촉구 :: 양산 한옥문 (tistory.com) 경남도, 전기차 폐배터리 관리 적극 대응 촉구 경남도, 전기차 폐배터리 관리 적극 대응 촉구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2020년 1월 20일 제369회 경상남도의회 본회의 5분 발언 저는 전기 자동차 폐배터리 관리와 자원 dy3186.tistory.com https://dy3186.tistory.com/48 양산 한옥문, 동남권 폐배터리 자원화센터 설치 제안 양산 한옥문, 동..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7. 6.
  • 열세 번째 한옥문의 생각 도시공원 열세 번째 한옥문의 생각 도시공원 ​ ​ 시민이 행복한 양산 ​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 ​ 오늘은 도시공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 '도시공원'이라는 단어는 상당히 친숙하지만 ​ 도시공원이 무엇인지 설명하기에는 쉽지가 않습니다. ​ ​ 사전적 의미는 '도시지역에서 도시자연경관을 보호하고 ​ 시민의 건강, 휴양, 정서생활 등을 향상시키는 데에 ​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 또는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 라고 되어있습니다. 저도 도시공원에 관한 내용들을 찾아보면서 ​ 알게 된 것들을 간략하게 언급하겠습니다. ​ ​ 일반적으로 공원은 국가나 지방 공공단체가 공중(公衆)의 보건, 휴양, 놀이 등을 위하여 ​ 마련한 정원이나 유원지, 동산 등의 ​ 사회 시설을 말하는데, ​ 한국에서는 법적 ..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17.
  • 열두 번째 한옥문의 생각 현충일 열두 번째 한옥문의 생각 현충일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은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과 국군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기 위한 제66회 현충일입니다. 애국(愛國)이란 내 나라의 생명과 존엄성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 덧붙여 정의(正義)와 공평(公平)을 사랑하는 마음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애국(愛國)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수 많은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이 얼룩지지 않도록 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는 고군분투(孤軍奮鬪) 해야 할 것입니다. 누군가 말했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그들의 숭고한 희생 정신을 기억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6. 6.
  • 열한 번째 한옥문의 생각 환경의 날 열한 번째 한옥문의 생각 환경의 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은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입니다.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지구환경보전을 위해 공동노력을 다짐하며 제정한 날입니다. 우리나라도 1996년부터 6월 5일을 법정기념일인 '환경의 날'로 제정했습니다. 저는 시골출신이다보니, 어릴 때부터 동물과 자연환경에 대해 자연스럽게 밀접한 생활을 했었습니다. 그 후 페트병줄이기, 분리수거 등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을 해오다, 2018년 7월부터 전반기 경제환경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좀 더 전문적으로 현지의정활동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환경부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니 환경의 날을 맞아 미래를 함께 만들..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5.
  • 열 번째 한옥문의 생각 경남도의원 역할 열 번째 한옥문의 생각 경남도의원 역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8년 간의 시의원 임기 가운데 2년을 시의회의장으로 재임했습니다. 저는 현재, 도의원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시의원과 도의원의 역할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동안 양산시에만 한정되었던 시각이 이제는 경상남도로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우리 양산의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것에 과연 경상남도의 역할은 무엇인지. 또 어떤 지원이 필요하고, 다른 지역과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구축해야 할 것인지도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여러가지 산적한 지역의 현안문제 해결과 실질적인 지역발전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빈틈없는 실행계획을 수립해야하기에 어깨가 많이 무겁습니다. 저는 경남도의원에 당선되고, 원내..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5. 26.
  • 아홉 번째 한옥문의 생각 부부의날 아홉 번째 한옥문의 생각 부부의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 5월 21일은 부부관계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화목한 가정을 일궈 가자는 취지로 제정된 부부의 날 입니다. 이 날은 핵가족시대의 가정의 핵심인 부부가 화목해야만 청소년문제, 고령화문제 등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최근, 화목한 가정을 위해 지켜야하는 열 가지 라는 좋은 글귀를 봤습니다. 첫번째로 비난이 없어야한다. 가족간의 비난은 난파선의 밑창을 뚫는 것과 같다. 두번째로 욕설이 없어야 한다. 가정에서의 욕설은 밥에 흙을 뿌리는 것과 같다. 세번째로 원망이 없어야 한다. 가족간의 원망은 잘 끓인 국에다 찬물을 붓는 것과 같다. 네번째로 속임이 없어야 한다. 가족들 간의 속임..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5. 21.
  • 여덟 번째 한옥문의 생각 부처님 오신 날 여덟 번째 한옥문의 생각 부처님 오신 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 5월 19일은 부처의 탄생을 기념하는 부처님 오신 날입니다. 본래 '석가탄신일'로 불리었으나, 2018년 '부처님오신날'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염화미소(拈華微笑)' 불교의 대표적인 화두 가운데 하나입니다.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이란 제자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다고 합니다. 부처님은 긍정적인 연꽃의 가치를 대중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걸까요. 진흙에서 나왔으나 더럽지 않고 아름답지만 화려하지 않고 은은한 향기로 백리 밖까지 정화시키는 연꽃을 닮으라는 메시지가 아닐런지요. 연꽃 한 송이로도 그는 긍정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염화미소(拈華微笑)'의..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5. 19.
  • 일곱 번째 한옥문의 생각 518 민주화운동 일곱 번째 한옥문의 생각 518 민주화운동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은 5·18 민주화운동기념일입니다. 이 날은 1980년 5월 18일을 전후하여 광주(光州)와 전남(全南) 일원에서 신군부의 집권 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의 실현을 요구하며 전개한 민중항쟁을 국가 차원에서 기념하는 날입니다. ​ 저는 매년 돌아오는 이 날이 되면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2017년에 개봉한 택시운전사 라는 영화를 기억하시는지요. 이 영화는 1980년 5월의 광주를 취재했던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 그리고 서울에서 그를 태우고 광주까지 간 한국인 택시기사 김사복의 이야기입니다. 저는 무엇보다 연출을 맡은 장훈 감독이 했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너무도 평범한 서울의 한 택시기사 눈에 비친 시대의 모습..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5. 18.
  • 여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스승의날 여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스승의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몇일 전, 5월 15일은 스승의 날 이었습니다. 어버이 날에 뒤이어 스승의 날 또한 제겐 의미있는 날입니다. 1990년에 개봉한 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미국 명문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아이비리그에 진학하기위해 고군분투하는 학생들. 새로 부임한 영어 교사 '키팅'이 독특한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공부보다 중요한 인생의 의미를 깨우쳐 주는 내용입니다. 저는 스승의 날이 되면 이 영화가 생각나곤 합니다. "할 수 있을 때 장미꽃 봉오리를 거두어라. 시간은 여전히 날아가고 있다. 오늘 미소 지으며 핀 꽃도 내일이면 스러질 것이다" "그 누구도 아닌 자기 걸음을 걸어라, 나는 독특하다는 것을 믿어라, 누구나 몰려가는 줄에 설 필..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5. 17.
  • 다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어버이날 다섯 번째 한옥문의 생각 어버이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오늘은 5월 8일 어버이날입니다. 저는 어버이날이 되면, 늘상 그렇듯 이 노래가 떠오릅니다. '나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기를 제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진자리 마른자리 갈아 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 하늘 아래 그 무엇이 넓다 하오리 어머님의 희생은 가이 없어라' 이 '어버이 은혜' 노랫말은 우리나라 향가 연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무애(无涯) 양주동 박사가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에 나오는 내용을 거울삼아 작사한 것입니다. 어찌 감히 어버이의 은혜를 가늠할 수 있겠습니까. '어버이 살아실 제 섬기기를 다 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닯다 어이 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은 이뿐인가 하노라' 조선 시대의 최고의 시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5. 8.
  • 네 번째 한옥문의 생각 장구지계(長久之計) 네 번째 한옥문의 생각 장구지계(長久之計)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얼마 전, 제가 심중에 품고있는 집사광익 이라는 고사성어에 관해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첫 번째 한옥문의 생각 집사광익 :: 양산 한옥문 (tistory.com) 첫 번째 한옥문의 생각 집사광익 첫 번째 한옥문의 생각 집사광익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제가 평소 생각하고 있었던 것들에 관해 한옥문의 생각이라는 카테고리에 종종 글을 써볼까 합니다. 첫 글 dy3186.tistory.com 이번에는 제가 종종 인용하는 옛 구언에 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장구지계(長久之計)" 저는 이 말을 참 좋아하는데 그 뜻은 '순간의 효과보다는 영원히 계속될 만큼 잘 세워진 계책'을 뜻합니다. 우리..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5. 7.
  • 세 번째 한옥문의 생각 근로자의 날 세 번째 한옥문의 생각 근로자의 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었습니다.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1958년부터 대한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 창립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정해 행사를 치러오다, 1963년 노동법 개정과정에서 그 명칭을 '근로자의 날'로 바꾸어 기념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저는 근로자의 날이 되면 제가 늘 동경하던 미국의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떠오르곤 합니다. 그는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노동을 하고 자랐으며, 변호사를 시작으로 주의회 의원 더 나아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그 누구보다 노동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생각한 그는 "노동력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5. 4.
  • 두 번째 한옥문의 생각 충무공 이순신 두 번째 한옥문의 생각 충무공 이순신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어제, 4월 28일은 충무공 탄신일이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의 탄신일인 1545년 4월 28일을 기념해 제정한 날로, 충무공의 높은 충의를 길이 빛내고, 후손들에게 자주자립, 정의, 애국, 애민, 창조 정신을 심어주기 위한 법정기념일입니다. 저 또한 경건한 마음으로 충무공의 넋을 기리며 다시 한번 그의 업적을 되새겨봤습니다. 丈夫出世 用則效死以忠 不用則耕野足矣 장부출세 용즉효사이충 불용즉경야족의 너무나 유명한 이 말은 충무공 이순신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조금이나마 가늠할 수 있는 말입니다. 말 뜻은 "대장부로 세상에 나와 나라에서 써 주면 죽음으로써 충성을 다할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야인이 되어 밭갈이하면서 살리라..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4. 29.
  • 첫 번째 한옥문의 생각 집사광익 첫 번째 한옥문의 생각 집사광익 시민이 행복한 양산 언제나 처음처럼, 한옥문입니다. 제가 평소 생각하고 있었던 것들에 관해 한옥문의 생각이라는 카테고리에 종종 글을 써볼까 합니다. 첫 글이니만큼, 오랜 고민끝에 정한 주제입니다. '집사광익' 나관중의 '삼국지연의' 시내암과 나관중의 '수호지' 오승은의 '서유기' 작자미상의 '금병매' 혹은 '홍루몽'을 넣어 중국 4대 기서라고 일컫습니다. 저는 4대 기서 중 삼국지연의를 유독 재밌게 보았습니다. 79년 나관중의 삼국지연의가 처음 나왔을 때, 88년 이문열의 삼국지연의 03년 황석영의 삼국지가 출간될 때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흥미롭게 읽었던 거 같습니다. 이 집사광익이라는 고사성어도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제갈량이 쓴 글에서 유래되었는데 흔히 우리가 아는 제..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4. 2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