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소원이 무엇이냐’하고 하느님께서 물으신다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오직 대한 독립이오’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다음 소원은 무엇이냐’하고 물으시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다음 소원이 무엇이냐’하고 물으셔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 ‘내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하고 대답할 것이다.
문화부 초대 장관을 지낸 이어령 교수님께서 암 투병 끝에 26일 별세하셨습니다. 고인은 문학평론가, 언론인, 교수 등으로 활동하며 우리 시대 최고 지성으로 불렸습니다.
1983년, 저는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이라는 문학에 뜻을 품고 국문학을 전공하며, 대학시절을 보냈습니다. 고전문학의 구수함과 현대문학의 세련됨의 매력에 빠져 참 많은 책들과 함께 한 거 같습니다. 그 당시 우리와 같은 문학도라 하면 ‘이어령 교수님’을 모르는 게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저는 교수님의 책에서 슬픔과 기쁨, 때론 아픔을 함께 하며 참 많은 걸 배웠습니다. 주옥같은 명문장들이 생각납니다.
‘배고픈 울음. 윷놀이 같은 정쟁의 울음 그리고 내 조국을 내 조국이라고 부를 수 없었던 울음. 이 땅의 어느 흙 속에도 어느 바람 속에도 그 울음이 젖어 있지 않은 것이란 없다.’
‘생각하는 물음표의 젊음과 행동하는 느낌표의 젊음이 하나로 합쳐졌을 때 비로소 창조적 지성이 탄생한다. 젊음은 물음표와 느낌표 사이에서 매일 죽고 매일 태어난다. 젊음은 그렇게 탄생한다.’
더욱이 그는 88 서울 올림픽의 개막식과 폐회식을 총괄 기획하며 88올림픽의 상징인 ‘굴렁쇠 소년’을 기획하기도 했으며, 장관 재임 때 외국어인 ‘로드 숄더’를 ‘갓길’로 바꾼 일이 생각납니다. 이 외에도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 설립, 국립국어원 발족 등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큰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생각을 한다. 그 많은 생각 중에 늘 마음 한편에 있는 상당히 중요한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내가 왜 태어났고, 왜 존재하는 것인가' '내가 존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들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라는 존재는 여러 관계를 통해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내가 나라는 사람의 정체성을 고민해 볼 때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시작은 가족인 것 같다.
나는 나의 존재의 가치대로 살아가기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 대한민국에 내일이 없고 희망이 없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미래가 없고 희망이 없는 이유는 대한민국이 희망이 없어서가 아니다. 대한민국에 사는 우리가 나는 누구이고, 내가 어떠한 가치를 위해서 살아야 하는가를 고민하려 하지 않고, 그냥 살아가기 때문이다
내가 누구인가? 그리고 내가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살 것인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하지 않는다면 당신들의 인생은 어려움의 연속이 될 것이다. 목적 없이 시간이 지나가니 살아가는 인생이 될 것이다
청년들이여 이렇게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기 어려운 세상 속에 살아가는 그대들에게 청년의 시대를 갓 지난 사람으로 면목이 없다. 그래도 늦었지만, 정체성을 고민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하여 말하고 싶다.
청년의 시기는 나를 찾아가는 시기이다. 나를 찾는 시기에 내포된 의미는 내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태어났는지를 발견하는 것이다. 가치는 찾는 것이 아니라 발견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깨닫는 것이다. 자각. 스스로 깨닫는 것이다. 내가 어떤 존재이고 내가 어떤 목적으로 가졌는지를 말이다.